728x90
반응형
프로젝트를 착수할 때 어떠한 방법으로 프로젝트를 정의하고 진행해야 할까?
간단한 예시를 통해서 프로젝트 정의를 위한 연습을 해보자.
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5W1H(Why, Who, What, When, Where, How)기법을 사용하려고 한다.
- Why : 왜 프로젝트가 착수되어야 하는가?
- Who : 누구를 위해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가? 프로젝트 최종 결과물과 관련한 주요 이해관계자 및 프로젝트 스폰서(예산 승인자)는 누구인가?
- What : 우리에게 인도될 것은 무엇인가? 완료를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작업은 무엇인가? 이들 인도물들을 생산하기 위해 우리에 필요한 자원 및 자금은?
- When : 언제 이들 인도물들을 생산하는가?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들이 언제 이들을 검토할 것인가? 프로젝트 스폰서가 프로젝트 최종 결과물을 언제 확인 및 인수할 것인가?
- Where : 인도물들이 사용될 곳은?
- How : 프로젝트 목적과 목표를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? 성공여부를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?
내가 직접 진행했던 성능인증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착수 연습을 진행해보자.
신제품 성능인증 프로젝트 | |
Why | 공공기관의 우선 구매 대상으로 판로 확보 및 이를 통한 기업의 경쟁력 재고 |
Who | 내부 이해관계자 : CEO, 기술이사, 생산팀, 회계팀 외부 이해관계자 : fiti 시험연구원, 중소기업청 성능인증 담당자, 성능인증 컨설팅 업체, 금형 제작업체 프로젝트 스폰서 : CEO, 회계팀 |
What | 인도될 것 : 제품 시험성적서, 시제품, , 성능인증 신청서 및 발표자료, 금형 기계, 성능인증서 필요한 작업 : 시제품 제작, 시험테스트, 금형 제작, 성능인증 신청 및 발표준비 필요한 자원 및 자금 : 시제품 제작비, 시험 검사비, 금형 제작비, 성능인증 컨설팅 및 신청 비용 |
When | 1. 2020년 12월까지 시제품 제작 (CEO, 기술이사, 생산팀, 회계팀) 2. 2021년 1월까지 시험 테스트 완료 (CEO, 기술이사, fiti 시험연구원, 회계팀) 3. 2021년 3월에 1차시 성능인증 신청 및 발표 (성능인증 담당자, 성능인증 컨설팅 업체) 4. 2021년 6월까지 금형 제작완료(금형 제작업체, 회계팀) |
Where | 중소기업청 (성능인증 준비 및 신청), 자사 공장 (기계 설치) |
How | 1. 12월까지 시제품 제작 완료 2. 성능인증 기준 이상의 시험 결과도출 3. 1차시 성능인증 통과 4. 4000만원 이하의 자금으로 프로젝트 완료 |
간단하게 작성을 하였지만, 각각의 요소마다 빠진 것은 없는지 충분한지에 대한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.
내가 작성한 표에서도 부족한 것이 있고 수정되어야 할 것들이 있을 것이다. 방법은 프로젝트에 따라서, 기업에 따라서, 프로젝트팀 구성원, 외부 환경, 일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다.
중요한 것은 범위, 일정, 비용에 맞춰서 부족한 부분없이 작성해야 한다는 것이다.
728x90
반응형
'스마트 팩토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젝트 관리] 프로젝트 관리 개요 (0) | 2021.06.13 |
---|---|
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첫 시작, 왜? (0) | 2021.05.13 |